서주의 건국부터 멸망:
서주의 건국은 기원전 1046년에 목야전에서 상을 멸망한 기록을 근거로 찾아 본다.
지난주 시월 16일 에 올린 “고조선 영토-3” 과 17일에 올린 “단군조선의 천도. 왕검성 (王儉城)을 찾다”까지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산서성에서 동으로 하북성을 지나 산동반도에 이르는 중원 전역에 흐터저, 미 합중국 초기와 같은 연맹 (聯盟) 집권 체제( “Confederation of many town States)를 이루고 살았다.
이 당시의 영역을 다음 장 “고조선 영토-4. 서주의 건국과 멸망”에서 설명 하려고 “고조선 영토-5. 춘추시대”의 대명사로 불리는 “춘추오패”의 어원을 다루었다.
현제 춘추오패라는 첫쩨 두쩨로 치는 제 환공(周伯齊桓)과 진 문공(晉文公) 이 포함 되였다. 두예가 선택한 글자를 자새히 보면 “제환공는 모든 서주의 제후국 지도자 (周伯)의 한사람”이고, 진 문공(晉文)은 “서주의 제후국 지도자(周伯)와는 다른 혈통”이란 뜻이 숨어 있다. 중국 위진(魏晋)시대 두예(杜預, 222년-284년)가 남긴 오백지패(五伯之霸也)라는 문구의 참 뜻은 “다섯 지도자의 빛/별이란 뜻으로 왕중왕”으로 풀이 된다 . 그 4지도자가 다스리던 땅이 중원 세력과 접해 있던 경계가 된다.
목야전 이후에 옛적 상나라 지역에 설치 되였다는 서주 제후국 “진, 조,연,한, 위,정, 노,제”들이 어떻게 시작 되였나를 살펴 본다. 이에 관한 사료를 많은 사가들은 상고사의 성서(聖書,Bible)와 갗이 다루는 전사사(前四史)를 인용 하고 있다. 첫 단추부터 잘못 끼었다. 사마천의 사기는 신흥 유학가치관에 따라 중국 위주의 사서를 편찬 했다. 당연 하다. 은밀한 필법으로 편찬된 사서에서는 찾기가 어렵다. 필자는 다른 곳에서 숨은 진실을 찾았다.
중국문헌에 “단군왕검(檀/壇君王儉)이란 칭호”는 없다. 그를 오패의 첫번쩨가 되는 하백곤오(夏伯昆吾)라 했다. 치수사업을 성공하여 만장일치로 왕중왕이 된 맥족의 지도가 우왕이다. 이 두 명칭이 붙은 사람을 어떻게 “단군왕검이라 결론을 내렸나”하는 질문에 답하고자 한다. 이는 단군조선의 어원과 직결 되는 문제라 고조선의 수도와 같이 여러 방면에서 고찰하여 설명 해야 한다.
희발 (姬發)이 서주무왕(周武王)으로 집권하고 천신께 고할 때는 상 나라에서 쓰던 혁복(革服)을 쓰지 않았다. 하백곤오(夏伯昆吾)가 새운 집권은 3대에서 끝났다 .
하백곤오(夏伯昆吾)를 숭우(崇禹),상나라를 융은(戎殷) 또는(革gé/ [jí]) 은(殷)이라 했다. 상의 핏줄은 “융 또는 혁(革gé/ jí)으로 발음 되던 부족”이라는 뜻이다.
대팽과 실위는 상나라 때 사람이라(商伯大彭、豕韋) 하나, 상 왕조의 집권자가 아니다. 그들도“소가 우는 소리, 馬/牟;móu mù mào로 기록 된 부족” 의 지도자가 분명 하다. 그 들은 마땅히 단군 왕검 이후의 단군이였다. 고조선의 일부 부족이 중원에서 상나라와 겨루고 살았다는 증거다.
단군왕검, 하백곤오(夏伯昆吾), 우왕.
앞에서는 의문에 싸인 왕검성(王儉城,Citadel of Wangxian)을 사마천은 이리저리 바꾸어 여러 글자(王險城, 都王險)로 기록에 남겼다. 왕검(王儉)이란 글자를 은패하려는 방안이였다. 왕검(王儉)이란 글자는 먼 후에 “산서성이 있던 서진이 남으로 쫓겨온 후”에 나온다. 그러나 그에 관한 기록은 안씨가훈 서증(顏氏家訓 書證)편명 뿐이고 내용은 없다. 그를 “사경 하후해 (謝炅、夏侯該)라 했다. 해 (解, 奚, 東胡)족의 별이란 뜻”이 있다 . 노예들이 살던 땅(隸省)이라던 산서성사람들은 서진 시대 까지 왕검(王儉)이란 용어를 써 왔다는 증거다. 왕검(王儉)이 산서성 일대에 살던 “한글 어순과 같은 말을 하던 예맥족의 지도자 였다”는 뜻이다.
그 뜻이 먼 훗날 그곳의 지도자 였던 관구/모검(毌丘儉)에 나타나고 단군이란 단자(檀)는 단석괴(檀石槐, 136-181년)에서 나타난다. 관구검(毌丘儉, ?-255년)이라 쓴 한자를 어떻게 발음하느냐 하는 문제로 시비가 많았다. 그 뜻은 필자가 풀이 한 “소가 우는 소리, 馬/牟;móu mù mào라고 기록 되던 부족이 살던 고을의 지도자”란 뜻이다. 그의 성(毌)자는 목천자전에 실린 서왕무(西王毋)를 서왕모(西王母)라 잘못 풀이 하드시“소가 우는 소리, 馬/牟;móu mù mào라고 본다. 무 또는 모(móu mù mào) 라고 읽을수 있다. 무구검 또는 모구검이 옳은 발음이다.
상서(尙書)에서 보듯, 모두들 하나 같이 (僉曰) 그를 백우(伯禹)라고도 했다 . 여기 나오는 첨 (僉)자는 그 “전역 (全域, 四岳)에 살던 사람들의 지도자 목(牧, 十有二牧) 이 모두 다”란 뜻이다. 그 글자 안에는 “모든 사람”이란 뜻이 있으나 그 뜻을 분명히 하기 위하여 사람 인변에 우(禹)의 인품을 더하여 검 소할 검(儉)자를 단들었다 . 공자 께서 “우가 얼마나 검소한 사람인가 를 한 설명이 논어 태백 (論語 泰伯)에 있다 . 태백 (泰伯)이란 글자는 역사상 가장 우수했던 지도자란 뜻으로 태백 (太伯) 또는 숭우(崇禹)라 했다. 서주 무왕을 우수한 지도자로 묘사하기 위하여 우(禹)의 임품을 인용했다. 미국 대통열 선거 때 한 말이 기억 난다.
“Senator!. You are not Kennedy. I know Kennedy.”
어찌 감히 친구를 배반하고 친구의 후손을 몰아 버린 서주 희발을 우(禹)와 같은 반열에 놓을수 있겠나. 그를 인용하여 당시 상나라 전역의 3/2가 희발을 지지 혔다고 하면서 공자가 한 말을 뒤바꾸어 풀이 하고 있다. 공자가 한 말은 “도당 씨가 다스리던 지역 오지에 여자 한 사람이 있었다. 즉 태사공과 자매간의 관계를 맺어 목야전에서 성공 했다는 뜻”이다. 수경주, 모시서, 시설 등 여러 사료를 종합해 보면, 우(禹)를 하백 곤오(夏伯昆吾)라 했다 . 하백(夏伯)을 다시 또 뒤바꾸어 황하를 다스리던 신이라 (河伯)라 기록 했다. 공자께서 우를 아래와 같이 설명했다:
“나는 우(禹)에게서 아무런 결점을 발견 하지 못했다. 그는 아무런 음식이던 먹고 마시고 옷도 아무나 입었지만 ,의관은 뚜렸히 하여 천신을 극진히 모셨다”.
검(儉)자는 우리의 선조가 만든 글자다. 논어 태백 (泰伯)에서 공자는 우리들의 제천 모습을 그려 놓았다.
치수 사업 지도자들:
황하 문명 발생 초기 부터 그 곳에 살던 사람들은 황하수가 좁은 함곡관(函谷關)을 나가지 못하여 역수로 인한 수해가 심했다. 이를 다스리기 위한 치수 사업이 그들의 지상 목표였다. 치수 사업과 관련되여 나타나는 대표적 이름이 “우, 곤, 공공, 전욱” 이다. 여러 세대를 거처 그들은 수해를 막으려고 노력 했다. 그 이름 중에 특히 공공(共工) 에 관한 설명에 혼돈이 많아 정확 한 혈통을 찾기가 어려웝다 . 공공씨를 왕이라한 기록이 없다고 했다. 그러나 예기 제법에는 그가 구주의 패자라 했다. 자새히 살펴 보면 치수사업을 했던 지도자는 모두 우왕과 같은 혈통이다. 우왕의 아버지가 환도 (驩兜)가 숭백곤(崇伯鯀)이고, 전욱 고양씨(顓頊高陽氏)의 후손이 공공(共工, 龔工), 구룡,후토로 혈통이 이어진다 .
이들은 모두 단군왕검 이전의 단군이였다. 중국기록에 나오는 예군이였다.
단군왕검(壇君王儉)이란 한자가 옳다.
일주서에 많은 사실이 숨겨 있다. 은극해(克殷解)에 따르면,무왕을 도운 무장이 강태공 여상과 백부(伯夫)였다 . 다른 어느 사서에도 이 전쟁에 백부(伯夫), 또는 대백(大白)이 제후를 지휘 (麾諸侯)한 기록이 없다. 백(伯bó bǎi bà) 자가 밝다는 뜻의 사음이다 . 부(夫)는 남자의 존칭이다. 통전에도 이 전쟁 지도자 이름이 나온다 . 그 들을 강모솔사(羌、髳率師)라 했고, 주를 달아 모자는 발음 하기를 모회(矛會)라 했다. 모회는 말갈(靺鞨)과 같은 부족 이름이다. 모(髳, 髦)가 상서 목경(書•牧誓), 시경 각궁(詩.角弓) 을 비롯한 여러 곳에도 나온다. 후한서 서강전(西羌傳)에도 실려 있다. 이를 서이(西夷)의 별명이라 했다 .
주 무왕이 전장에서 생사를 같이 한 혁혁한공을 새운 죽마고우에게 하사한 기념 주물이 1976년 경에 협곡관 서쪽에 있는 위남(渭南) 근처 에서 발굴 되였다. 이를 중국에서는 이괘 (利簋)라 부르더니 요지음에는 단괘 (檀簋) 라고도 부른다 . 청동으로 만든 그릇 바닥에 새겨진 금문 (金文) 32자는 큰 손상이 없다. 금문의 내용은 목야 전쟁에 ‘화살 받이와 같은 공로’가 많았던 “단공, 壇公/公”을 위해 만들어 준 하사품 이다.
사기 굴원 가생 열전에는 여러 영웅 부차(夫差)와,구천(句踐)의 성패를 다루면서 인생만사는 끝없이 변해간다는 인생무사를 단공과 부열을 들어 읊었다 . 여기 실린이 사(斯)자는 무왕의 친구로 기념품을 받은 휴(攜/단공,旦)이다:
부렬은 수미였다가 무정의 제상이 되고, 사(斯)는 주구가 되여 성공했지만 그의 부하들(卒)은 끝네 오형을 당했다.
그를 주인공으로 읊은 시문이 앞에서 인용 한 시경소아 (詩經 小雅)에 실린 시간 (斯干)이다 . 시문 첫장을 보면 전장에서 형제와 같이 서로 도우며 싸우던 무왕과 단공 (公)의 관계가 뚜렷하다. 시간 (斯干) 이라는 뜻은 “쉬애한xiè hàn; 解汗, 즉公”을 가차 전주한 글자로 신(神)과 같은 존제라는 뜻이 있다고 했다. 무왕의 아들은 그를 당숙 우 (唐叔虞)라 불렀고, 단공 (公)의 수도 가까이 소공 석 (召公奭)을 봉했다는 제후국 연(燕)의 군사를 이끌고 시간 (斯干)의 궁에 친입 하여 항복을 받아 한후(韓侯)로 임명 했다는 상황이 일주서 (逸周書)에 있다. 이러한 사실을 ‘수도를 옛 하우씨가 살던 곳 (夏之居)으로 옮기려는 계획에 실려 있다 . 숙단(叔旦)이 성왕 앞에서 울며 하소연 한다. 죽서기년 성왕 (竹書紀年 成王) 7년 부터 13년 까지의 기록은 해지 연안에 살던 사람들을 몰아 냈던 기록이라 본다 . 성왕의 잘못을 뉘우치는 노래가 시경 소아에 실린 하인사 (詩經 小雅 何人斯)이고, 주 무왕을 도와 혁혁한 공을 새웠던 서이( 西夷) 들이 무왕의 아들에게 수모를 당한 서글픈 노래가 이 지역을 배경으로 한 시경 국풍 이외에도 여러 사서에 실려 있다. 그들이 부르던 춤과 노래를 설명한 사료에 뚜렸하게 나온다 .
후세에는 성왕의 이 불미스러운 행적을 은폐하려 노력한 흔적이 많이 보인다. 당숙 우 (唐叔虞)라는 사람을 유가(儒家) 경전이 아닌 경전에는 숙단 (叔旦)이라고 기록 했다. 문맥을 보면, 주공 단 (旦)이 아니라 무왕과 단(旦, 公)은 의형제간이 였다 하여 아저씨 단(叔旦)이라 불렀고 이 글자가 와전 되여 단(旦)이 당 (唐, 當)으로 바뀌어 기록 되였다 . 이를 사기진세가에서는 “주공이 당/단을 죽였다”하고 진과 서주는 “뿌리가 다르지만 이삭은 같다”는 아리송한 표현을 했다 .
일주서 도읍해 편에는 옛 전우를 배반하고 도읍을 빼았던 장면을 기록 했다 .
죽서기년 재신(竹書紀年 帝辛)조를 보면 문왕(文王 西伯昌)의 아들 희발이 단공 (公)이 살던 안읍(安邑, 燕, 西伯使世子發營鎬)에서 난을 피(辟雍)했고, 그 당시 사이 좋게 지대던 시절를 그린 시문이 앞에 말한 시간 (斯干)과 대아 영대(詩經 文王之什 靈臺)라 본다. 이 때 다른 여러 제후들과 같이 백이 숙제도 문왕의 정책에 동조 했다. 시경에는 단군을 뜻하는시(斯)자가 수없이 많이 나온다. 각궁에는 가까운 친구와 사/이별하는 사연을 읊었다.시(斯)를 빛이라 했다.
“수작불양, 지우기시망 受爵不讓、至于已斯亡”이라.
작위는 밭았지만 양위는 하지 않고 죽었/도망 갔다. 이를 다른 시문에서는 “사슴같은 시(斯)가 도망 갔다”고 했다. 죽서기년에는 이 사실을 “왕이 사신을 보내 양위를 받았다” 했고, 다른 사서에는 “사신으로 갔던 세 사람중에 한 사람은 남았다”고 했다 . 남은 사람을 소공 석으로 풀이 하여 그가 살기 좋은 땅(安邑)에 봉해져서 연의 시조가 되였다고 풀이 한다 . 오늘의 해지 동북지역을 유주라 했고, 그 곳을 편안한 은자의 사는 곳이라 하던 곳이다. 이 글자를 이리 저리 뒤바꾸어 제비 연(燕)자로 기록 하여 연(燕)자가 수양산(首陽山)과 같이 그 곳에 살던 사람들이 발해만으로 옮겨 와 잡리 잡은 곳에 붙여 쓰고 있다. 서이와 동이의 지도자는 같은 명칭을 썼다. 그를 “단, 단공”라 불렀다. 삼국유사의 내용을 보면 단군은 분명 제사장을 뜻했다. 중국문헌에도 제사를 지내는 사람이 언제나 집권자 옆에 있었다. 단군왕검(壇君王儉)의 한자 표기는 “제터 단(壇)자”가 옳다.
끝
October 21, 2016
Retired physician from GWU and Georgetown University in 2010 2011: First Book in Korean "뿌리를 찾아서, Searching for the Root" 2013: Ancient History of the Manchuria. Redefining the Past. 2015: Ancient History of Korea. Mystery Unvei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