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옥저전(東沃沮傳)-2: 서쪽 경계와 태자하의 어원:
동옥저 서쪽은 개마대산 (蓋馬大山)으로 고구려와 접했이다. 예전(濊傳)에는 단단대령 (單單大山領)이란 문구를 쓰고, 산령(山領)을 경계로 이동,이서, 영동(領東)하는 글자를 썼다. 대령(大嶺)을 고의적인가 혹 실수인가는 확인할 길이 없지만 뜻이 다른 사음자로 대령(大領)이라 했다. 이 잘못된 글자를 후한서는 그대로 인용하면서 대령이동(大領已東)이라고 했다 . 미묘한 표현이다. 편집진의 입장을 고려해 보면 그들이 사용한 글자 (已; 그칠 이, 이미 기/이)에 답이 있다. 대령(大領)이란 뜻은
로 풀이 된다.
삼국사기에고 했다 . 지리지형과 기후조건을 결부 시켜 보면 대나무가 자라는 곳이 될수가 없다. 이 문구는 어떤 큰 산맥에 이르렸다고 풀이 해야 한다.
진수가 남긴 대령(大領)이란 지역을 죽령(竹嶺)으로 기록 했다고 본다.
개마 (蓋馬)란 이름은 사음자다. 한무제가 우거왕을 정벌하고 왕검성이 있던 고조선 경기 지역에 현토군(玄菟郡)을 설치 하여 그 곳에 살던 사람들이 부르던 이름을 따서; 고구려, 상은대, 서개마 (高句驪,上殷台,西蓋馬)의세 현을 설치 했다. 요하 서쪽에 있던 서개마(西蓋馬)현에는 옥저성(沃沮城)이 있었다. 그 일대가 옛적에 옥저(沃沮) 었다. 그곳에 있던 성을 부여전에 실어 예성(濊城)이라고 했다. 예성(濊城), 현토성(玄菟城, 玄●城), 옥저성(沃沮城)이 같은 곳이다. 이를 진수는 혼미하게 섞어서 동옥저전에 함께 실었다 . 그 뜻은 아래와 같다:
<위만의 손자 우거를 살하고, 그 땅을 나누어 4 군으로 했다. 옥저성(沃沮城)이 현토군으로 되였다. 후에 이맥(夷貊, 穢貊)이 침략하니 (현토)군이 고구려 서북(영역)이 되였다. 지금 소위 현토가 바로 그 지역이다. 옥저는 되돌아 낙랑 (沃沮還屬樂浪)이되였다.
옥저가 현토군에 있었다는 근거는 삼국지 관구검전에도 있다. 현토태수 왕기/간 (玄菟太守王頎)이 옥저를 지나 1000리를 가서 숙신씨 남계(肅慎氏南界, 丸都城 일대) 남쪽에 이르러 바위에그의 공적을 새겨 놓았다 . 고구려와 관구검의 군사는 심양 요양일대에서 크게 싸웠다. 이를 대전양구 양음갈 (大戰梁口,梁音渴)이라 했다. 이 일대에 모두 가까이 있다.
태자하(太子河)의 어원:
한국에서 들보/다리 량(梁)이라고 읽는 글자를 만주에서는 크어/흐어/크애(渴; kě hé jié kài/kɑt)로 읽는다. 그 곳이 고구려의 패자(句驪沛者) 가 살던 곳이라 하여 그 곳을 지나는 강줄기를 패수(沛水)라고 했다 . 이를 중국 사람들은 음이 비슷한 조개 패자 패수(浿水)로 바꾸어 중원 세력과 고조선의 국경이 있던 곳이라 한다. 패수가 바다로 드러가는 일대에서 연태자가 죽었다는 넘칠 연자 연수(衍水)를 용양을 지나는 패수(沛水)에 접 붙여(graft) 태자하(太子河)라고 한다. 개마대산 (蓋馬大山) 단단대령 (單單大山領) 서쪽으로 흐르는 빗물(rain water)가 태자하와 혼하( 渾河)의 수원이다. 그 분수령의 동쪽으로 흐르는 빗물이 환도성 일대를 지난다. 이를 혼강 (渾江)이라 하고. 그 분수령을 천산 산맥 또는 천산산맥(天/千山山脈) 이라고도 했다. 단(旦,檀)을 단(單)으로 기록한 저의는 단(單)이 하늘 천(天)을 뜻한 사음 대자다. 그 단(旦,檀),즉 환웅 천왕이 내린 명이라 하여 대령(大領) 이라했다. 그 일대에 환인(桓仁, 桓因)이란 마을과 하느님께 기원 한다는 뜻의 망천동(望天洞)이 있다.
동옥저는 옛 옥저가 있던 조양 일대에서는 동남동 방향이다. 삼국사기에서는 고구려 왕이 <수도 경기지역인 요양일대에서 고전을 하다 패하여 산성이 있는 동북쪽 옥저땅으로 도망 갔다(宮奔北沃沮, 置溝婁) 하여 북옥저라 했고, 그곳에서도 패하여 옥저땅 남쪽으로 도망 갔다 (王奔南沮南沃沮)하여 이를 남옥저라 기록 했다. 고구려왕이 동옥저의 북쪽, 즉 환도성에서 요동 반도 남쪽으로 피해 갔다는 뜻이다. 이 곳을 흔히들 함경도 연해주 쪽으로 도망 했다는 풀이는 잘못이다.
고구려 시조 주몽이 부위염을 시켜 기원전 28년에 북옥저를 격파하고 성읍을 만들었다. 남옥저의 북쪽에 고구려의 성(國內城,丸都城, 溝婁)이 있었다 . 이들을 말갈(靺鞨) 이라고도 했다. 인도사람들은 서부중국에 살던 사람들을 말갈 또는 마하 (摩訶,Mohe)라고 불렀다. 말갈 (靺鞨)이라는 이름은 삼국사기 삼국의 발생 초기부터 나타나는 이름이다. 고구려가 수도를 정한 비류수상에 가까이 있던 부족이다. 삼국유사에는 읍루와 물길이 모두 숙신이고 옥저에 접해 있다고 했다 . 고구려의 첫 수도 가까이에 숙신씨가 살았고 읍루가 있었다. 남만주 수계에 살던 부족이다. 많은 분들이 삼국지의 내용을 잘못 풀이한 후한서(後漢書)의 풀이를 받아드려, 마하 (摩訶,Mohe)라고 적었던 사음자를 다른 글자 말갈 (靺mò鞨hé)로 바꾸어 기록 했다. 이부족이 한반도 동북쪽 에서 연해주 연안에 살던 부족이라고 잘못 인식하고 있다.
진수는 같은 예맥 부족을 한전(韓傳)과 예전(濊傳)으로 나누어 미묘하게 기록 하였다. 한전에는 고 했다 . 후한서를 인용한 많은 사가들이 고 풀이 한다. 뒤에 한전에 나타나는 에서 깊히 다루기로 한다.
끝. 다음에 계속
June 10, 2017
Retired physician from GWU and Georgetown University in 2010 2011: First Book in Korean "뿌리를 찾아서, Searching for the Root" 2013: Ancient History of the Manchuria. Redefining the Past. 2015: Ancient History of Korea. Mystery Unvei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