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한전(辰韓傳)-2: 개마대산(蓋馬大山)
진한전에 살던 사람들의 언어와 풍속:
두쩨: 부여지국(不與之國):
필자가 진한의 언어는 부여나 마한과 같다(其言語不與馬韓同)고 풀이한
는 산해경에 나오는 다. 순자에 실린 활을 잘 만들던 부유족(浮游作矢)을 그렇게 기록 했다고 본다. 이 부족은 단군조선의 발생지인 산서성 서남쪽에서 태고적 부터 교류 통로였던 분수계곡을 따라 내몽고 적봉 일대로 올라 왔다고 본다. 후에는 대흥안령을 너머 만주 땅에 들어 왔다.
산해경에 호부여지국 (胡不與之國)을이순자(荀子)에는 떠돌이 라는 뜻인 부유족(浮游)으로 기록 되였다. 이 글자가 부여(扶餘,夫餘)의 또 다른 표기다.
이러한 추정은 문장 풀이에서 그들이 쓰던 말(言語)이 증거다. 서쪽 낙랑에 살던 사람들이 동쪽 요동반도로 왔다. 또 그곳에 살던 사람들이 진나라 사람들과 같다(有似秦人)한 문구는 중원 사람들이 이민 왔다는 뜻이다. 태행산맥 서쪽에 살던 사람들이 동쪽으로 왔다는 기록이 관자(管子)있다: 제 환공이 고죽국을 정벌하러 북쪽에 올라 가서 태행산 서쪽에 살다가 동쪽으로 온 사람들을 잡았다는 표현을 고죽,산융,예맥,구진하(孤竹、山戎、穢貉、拘秦夏)라 했다 .
하우씨(夏禹氏), 진시황과 같은 혈통을 한 사람들이 북경 당산 일대에 살았었다는 증거다. 산서성 서남쪽에 숙신, 부여, 고구려의 전신인 구려/리(駒麗/驪)가 살았었다.
진수가 이렇게 미묘하게 표현한 부여(不與)라한 글자를 후한서를 비롯한 후대 사서에는 훈역하여 라고 기록에 남겼다. 한국 선학들은 후한서의 내용을 그대로 받아드려 삼한의 후예들이 언어풍속이 다르다고 인식하고 후손들에게도 그렇게 가르쳤다.
셋쩨: 개마대산(蓋馬大山):
단단대산(單單大山) 단단대령 (單單大領)이 어디인가?
예전(濊傳)에 “예는 남쪽은 진한(辰韓) 북쪽은 고구려와 옥저에 접했고, 동쪽은 큰 바다(大海)에 이른다. 옛적에 기자가 와서 적응하던 조선 땅이다. 단단대산 (單單大山)서쪽 이 한낙랑(漢樂浪)에 속한다”고 했다. 내용을 깊히 살펴 보면, 동옥저전 (東沃沮傳) 에서 개마대산(蓋馬大山)이라한 산맥을 예전(濊傳)에서는 단단대산 (單單大山)이라 했다 . 이 두 이름은 요동반도의 분수령을 진수가 새로 만든 문구다.
후에 송나라 때에 편찬된 후한서에서는 이 산맥을 단단대령 (單單大領)으로 바꾸어 기록하면서 그 산맥 동쪽이 낙랑동부도위(樂浪東部都尉) 관활이라고 했다 . 진수가 한나라(漢)의 영역이 요하 서쪽에 국한 되였다는 사실을 은미하게 표현한 내용에 덧붙여 요동 반도 전체를 통치 했다고 과장 확대 시켰다.
진수가 단단대산 (單單大山) 이라 고한 개마대산(蓋馬大山)은 삼신을 섬기는 부족(蓋馬,濊貊)이 살고 있는 큰 산맥이란 뜻이다 . 같은 부족이 고조선의 경기(京畿)지역이였던 한의 현토군에 고구려, 상은대, 서개마 (高句驪, 上殷台, 西蓋馬)라 하던 현의 이름이 있였다 . 이 곳에 옥저성 (沃沮城 )이 있었다 .
이 성을 삼국지 부여전에서는 예성(濊城), 진서(晉書)에서는 예성(穢城) 이라 했다 . 개와 예(蓋濊)가 같은 부족이란 뜻이다.
통전에는 삼국지에 실린 동옥저전을 재탕 하면서 개음합(蓋音合)이라고 했다 .
한국에서 합(合)이라고 읽는 글자는 “hé/해/흐어/허. gě/그어”로 발음 했다는 뜻이다. 이같은 발음을 검을 흑(黑)자로도 썼다. 검다는 뜻이 아니라 어떤 물체가 너무 멀리 있서 확시치 않아 는 뜻의 사음자다. 하여 가물 현(玄)
자 또는 했다. 개마고원(蓋馬高原 ), 혜산시(恵山市), 해성시(海城市),또는 흑산(黑山)하는 이름이 모두(蓋狄으로 기록되던 부족이 살든 지역에 붙여진 이름이다.
중국 산서성에서는 개/해/흐어/적(蓋狄)이라고 하던 부족이 있었다 . 춘추좌전에서는 로 바꾸었다.
수경주에는 대군쌍건현(代郡桑乾縣)을 지나는 쌍건하를 설명 하면서 고 했다 .
단단(單單)은 사음자로 단(丹, 檀, 壇,但)으로도 기록된 여러 무당들(禮君)을 뜻한 글자다. 그뿐아니라 근래에는 천산산맥 (天山山脈)이라고 했다. 중국의 로 옮겨졌다. 마을 이름을 환인(桓仁/因)이라 고 했다. 고구려의 이란 뜻이다.
한만 구경지대를 설명한 동옥저전(東沃沮傳)과 읍루전(挹婁傳) 서 다시 거론키로 한다.
끝, 다음에 계속.
May 31, 2017.
진한전(辰韓傳)-2: 진한전에 살던 사람들의 언어와 풍속:
두쩨: 필자가 진한의 언어는 부여나 마한과 같다(其言語不與馬韓同)고 풀이한
는 산해경에 나오는 다. 순자에 실린 활을 잘 만들던 부족(浮游作矢)을 그렇게 기록 했다고 본다. 이 글자가 부여(扶餘,夫餘)의 또 다른 표기다. 문장 풀이에서 그들이 쓰던 말(言語)이 증명 한다. 서쪽 낙랑에 살던 사람들이 동쪽 요동반도로 왔다. 또 그곳에 살던 사람들이 진나라 사람들과 같다(有似秦人)한 문구는 중원 사람들이 이민 왔다는 뜻이다. 산서지역에 살던 사람들이 함곡관 동쪽으로 왔다는 기록이 있고, 제 환공이 고죽국을 정벌하러 북쪽에 올라 가서 태행산 서쪽에 살다가 동쪽으로 온 사람들을 잡았다는 표현을 구진하(拘秦夏)라 했다 .
하우씨, 진시황과 같은 혈통을 한 사람들이 북경 당산일대에 살았었다는 증거다. 산서성 서남쪽에 숙신, 부여, 고구려의 전신인 구려/리(駒麗/驪)가 살았었다.
진수가 이렇게 미묘하게 표현한 부여(不與)라한 글자를 후한서를 비롯한 후대 사서에는 훈역하여 라고 기록에 남겼다. 한국 선학들은 후한서의 내용을 그대로 받아드려 삼한의 후예들이 언어풍속이 다르다고 인식하고 후손들에게도 그렇게 가르쳤다.
셋쩨: 개마대산(蓋馬大山), 단단대산(單單大山) 단단대령 (單單大領)이 어디인가?:
삼국지 예전에 “예는 남쪽은 진한(辰韓) 북쪽은 고구려와 옥저에 접했고, 동쪽은 큰 바다에 이른다. 옛적에 기자가 와서 적응하던 조선 땅이다. 단단대산 (單單大山)서쪽 이 한낙랑(漢樂浪)에 속한다”고 했다. 내용을 깊히 살펴 보면, 동옥저전 (東沃沮傳) 에서 개마대산(蓋馬大山)이라한 산맥을 예전(濊傳)에서는 단단대산 (單單大山)이라 했다 . 이 두 이름은 요동반도의 분수령을 진수가 새로만들은 문구다.
후에 송나라때 편찬된 후한서에서는 이 산맥을 단단대령 (單單大領)으로 바꾸어 기록하면서 그 산맥 동쪽이 낙랑동부도위(樂浪東部都尉) 관활이라고 했다 . 진수가 한의 영역이 요하 서쪽에 국한 되였다는 사실을 은미하게 표현한 내용에 덧붙여 요동 반도 전체를 통치 했다고 과장 확대 시켰다.
진수는 동옥저전(東沃沮)에서는 개마대산(蓋馬大山)이라 하고 예전(濊傳) 에서는 단단대산 (單單大山) 이라 고한 산맥(大山)은 삼신을 섬기는 부족(蓋馬)이 살고 있는 큰 산맥이란 뜻이다 . 같은 부족이 고조선의 경기(京畿)지역이였던 한의 현토군에 고구려, 상은대, 서개마(高句驪,上殷台,西蓋馬)라 하던 현의 이름이 있였다 . 통전에는 삼국지에 실린 동옥저전을 재탕 하면서 개음합(蓋音合)이라고 했다 .
한국에서 합(合)이라고 읽는 글자는 “hé/해/흐어/허. gě/그어”로 발음 했다는 뜻이다. 이같은 발음을 거물 흑(黑)자로도 썼다. 검다는 뜻이 아니라 어떤 물체가 너무 멀리 있서 확시치 않아 는 뜻의 사음자다. 하여 가물 현(玄)
자 또는 했다. 개마고원(蓋馬高原 ), 혜산시(恵山市), 해성시(海城市),또는 흑산(黑山)하는 이름이 모두(蓋狄으로 기록되던 부족이 살든 지역에 붙여진 이름이다.
중국 산서성에서는 개/해/흐어/적(蓋狄)이라고 하던 부족이 있었다 . 춘추좌전에서는 로 바꾸었다.
수경주에는 대군 소현을 지나는 쌍건하를 설명 하면서 고 했다 .
단단(單單)은 사음자로 단(丹, 檀, 壇,但)으로도 기록된 여러 무당들(禮君)을 뜻한 글자다. 그뿐아니라 천산산맥 (天山山脈)이라고 했다. 중국의 로 옮겨졌다. 마을 이름을 환인(桓仁/因)이라 고 했다. 고구려의 이란 뜻이다.
끝, 다음에 계속
May 29, 2017
Retired physician from GWU and Georgetown University in 2010 2011: First Book in Korean "뿌리를 찾아서, Searching for the Root" 2013: Ancient History of the Manchuria. Redefining the Past. 2015: Ancient History of Korea. Mystery Unvei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