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혀 있는 비밀을 앞으로 몇 차례에 걸처 발해연안부터 설명해 간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위진시대의 역사 기록을 보면 발해만 서남쪽 해안이 한해 (翰海)의 관문이 였다. 사마천은 북해(北海)라고 했다. 그 곳에 단군조선의 후예들이 오랫동안 살았다. 창해군(蒼海郡)에 관한 내용을 살펴 보면 사기 평준서(平準書)에 나오는 창해지군(滄海之郡)이 원조다[1]. 이를 춘추번뇌에서 흐르는 물의 끝이 창해(流水之宗滄海)라 했다[2]. 그 지역으로 모든 강물 (海河, 黃河)가 흘러 들어 갔다. 발해만 서남쪽 연안이 분명 하다. 삼국지 동이전과, 오주전(吳主傳)에서 본바와 같이 그 유역에서 삼한의 후예들이 한해의 동서 해안으로 흐터져 나갔다……
중국기록에는 고구려와 부여의 건국에 나오는 해모수 (解慕漱), 그의 아들 해부루(解夫婁), 그리고 금와(蛙, 蝸)란 이름이 없다 . 한서 지리지와 통전에 나온 개마(蓋馬: 蓋; gài gě hé音合; hé gě) 란 이름을 비교해 보면, 해모(解慕) 같은 뜻이 분명하다. 수(漱)자는 도망을 간 지도자 (澣)란 뜻으로, 현토군에 있던 서개마현의 지도자 해모수 (解慕漱)를 뜻했다 . 흑(黑; [hēi] hēi hè/흐어/해) 자 해(解)자가 모두 해(sun, sun-ray)를 사음한 글자(蓋音合)와 같은 사음자다. 고구려와 부여는 현토군에 있는 선비산(鮮卑山)으로 증명된 의무려산 (醫巫閭山)이 있던 곳에서 나타났다. 조양시 동쪽에서 북진시 서쪽에 있는 높은 산이다……
제 4 부: 대륙백제: 머릿 말: 한무제가 고조선 침략 이후에 부여에서 고구려와 백제가 나타 났다. 주몽이 큰 강을 건너 세로 도착한 곳(졸본부여)에서 세로 장가 들어 아들 둘을 두었다. 큰 아들 비류(沸流)는 발해만 서쪽을 따라 내려 가서 수도를 정하고, 동생 온조왕은 요하 동쪽으로 내려와 백제를 세우고 한성에 수도를 정했다. 대륙에 백제가 있었다는 증거는 삼국사기 최치원전(崔致遠)에 보인다. 중국 역사서에는 부여왕 위구대(尉仇台)가 한나라 말기에 공손도 (公孫度) 딸을 부인으로 맞아드려 동이의 강국이 되였다고 하고, 한국 역사에 실린 백제의 시조 온조왕에 관한 기록이…..
발기(拔奇)가 부여왕위구대(尉仇臺): 부여(夫餘)의 역사를 후한시대 부터 위진시대 까지를 간략히 서술한 내용이 중국 북송 초기에 편찬된 태평어람(太平御覽)에 있다 . 후한서왈(《後漢書》曰) 이라 했지만, 현존하는 후한서의 내용과는 다르다: <부여는 본래 예맥 땅(本獩地)이다. 동명이 요하를 건너 부여땅에서 왕이 되였다. 49년(建武二十五年)에 찾았다. 후한 초대 광무(光武)황제가 후대 했다. 111년(安帝永初五年)에 부여왕이 7-8천명의 군력으로 낙랑을 습격하여 큰 피해를 입히고 살인을혔가 다시 귀부(歸附) 했다. 120년(永寧元年)에는 (부여 왕위를 이어받을) 사자위구대(嗣子尉仇臺)가 황실을 방문하여 천자가 후대 했다. 136년(順帝永和元年)에 경도를 방문하여 순제(順帝)가 후대 했다. 항제( 桓帝146-167) 때에 다시 방문했고, 헌제(霊帝167-189) 때 요동에 자원해…..
한해 따라 二萬里-5: 누가 언제 한해를 처음으로 건넜나: 한해(翰海 瀚海)의 <동서 연안을 어느 누가 처음으로 건넜든가>하는 문제는 확실히 밝혀저야 한다. 중국 전사사(前四史)에서 삼국지 위서 30 특히 왜인전은 남만주에 살던 현지인의 증언(今使譯通)을 기록 했다[1]. 그들의 증언에 한해 교역을 자세하게 설명 했다. 한반도 서쪽 해안에서 표류된 배와 시신이 발견 되었고, 공손도(公孫度; ? ~ 204년)가 발해만 일대 산동 반도 북쪽 해안을 통치 했다. 후한 말기가 되는 2세기에는 발해 요동만이 동양의 지중해 역활을 했다. 오나라 손권( 孫權, 182년-252년)이 보냈던 사신이 고구려에 왔다. 진수는 오나라 사신이 공손연(公孫淵…..
한해 연안에 살던 사람들의 의사소통: 단군왕검이 조선을 건국한 요순 시대에 글자가 있었다는 사실은 여러 사가들이 인정 한다. 춘추시대까지는 여러 지역의 글자가 달라 진시황이 통일한 이후 글자 꼴 또한 하나로 통일 했다. 그러나 북쪽에 있던 고조선의 후예들은 옛 글자 꼴을 유지하고 발전 시켜 고조선 특유의 글자 꼴이 나타났다는 추론을 했다. 이편에서는 주로 언어 문제를 살펴 보기로 한다. 시경을 비롯한 여러 고전을 살펴 보면, 산서성 사람들이 한글 어순으로 된 언어를 썼다. 삼국지 종회전(鍾會傳)에 <왕필(王弼, 226년- 249년)의 역주에는 여기저기에 고려언어(注易,往往有高麗言)가 있다고…..
한(韓汗)이 다스리던 바다 한해(澣海). 한해(澣海)의 어원: 한해(翰海)란 이름은 사마천이 붙인 이름이고, 한해(澣海)란 이름은 진수는 왜인전에서 사용 했다. 사기 흉노열전에서 흉노를 몰아 버리고 선고언 임한해 이환 (禪姑衍,臨翰海而還)이라 했다[1]. 고사국(姑射國) 에서 기도를 드리고 언수(衍水, 浿水)가 한해에 임하는 곳에 이르러 돌아 왔다[2]. 오늘의 만리장성 동쪽 끝 산해관에 이르러 돌아 왔다는 뜻이다. 당대의 석학이 옛적 북해 (北海)라고 부르던 즉 발해(渤海)를 한해(翰海)라 했다. 이 세 이름이 같은 바다란 증거는 문헌 여러 곳에 있다. 삼국지 선비전에서 단석괴(檀石槐)에 관해 설명 했다. 발해 서남쪽 연안에 한인( 汗人)이…..
선사시대에 배를 개발 하여 요순 시대에는 벌써 쪽 배(舟)를 쓰기 시작 했다[1]. 시경에는 배로 다리를 만들었다(造舟為梁)는 문구가 있고, 희발이 새운 주(周) 나라는 배를 타고 사방을 돌아 다녔다는 뜻에서 나온 이름이라 한다[2]. 동물 껍질로 배를 만들기도 했다[3]. 삼국사기 신라 본기에 호공이 박을 옆에 차고 바다를 건너 왔다는 기록과 흡사 하다. 백제 신라 왜가 모두 발해-요동만 연안에 있던 시절이다. 본래 왜인으로, 처음에 박 호[瓠]을 허리에 차고 바다를 건너 온 까닭에 호공이라 일컬었다고 했다[4]. 표주박 호[瓠; hù hú huò gū/후/구 ]라고 읽는 글자는 사음자로 열고사 (列姑射)의…..
산해경(山海經)의 시작은 산하 구릉을 그려 놓은 약도 산하경(山河經)와 그를 설명한 글자라고 밝혔다. 치수사업을 하던 우가 백익에게 부탁 하여 상해경을 만들었다[1]. 산해경(山海經) 두 곳에 나타난 조선은 시대와 장소가 다르다. 천독(天毒)이란 글자가 실린 해내경(海內經)은 주로 요순 시대에 홍수의 피해가 심했던 지역을 다루었다. 그 편에 몇줄 첨가한 흔적이 보인다. 처음 요 임금 때에 12주를 우와 백익이 치수 사업을 마치고 9주로 만들었다. 해내경에는 9주 이름을 밝혔다[2]. 그 뒤에 또 다른 주를 더하여 <남방이란 지역을 첨가 하여 그 곳에 말이 서로 통하지 않는 흑인이 산다……
산해경(山海經)에는 조선(朝鮮)이 해내경(海內經) 과 해내북경(海內北經) 두 곳에 나온다[1]. 또한 해내서경 (海內西經)에는 성목(聖木)과 맥국(貊國)이단 한번 나오다. 성 맥(聖, 貊)두 글자가 수경주 성수(聖水)에 나온다. 수경주의 성수는 성목(聖木)과 맥국 (貊國)이 실린 해내서경 (海內西經) 영역을 지나는 강 이름이었다. 그 일대에 시경 한혁(詩·韓奕)의 주인공이 살던 한성(溥彼韓城)이 탁군에 있었다[2]. 해하의 여러 지류의 하나인 성수는 역수(易水) 누수 래수 거마하(濡水 入淶, 巨馬河)와 같이 발해(勃海)를 지난다[3]. 사기와 수경주에는 발해의 발자를 해(海)자 앞에 다르게 실었다. 발해(勃海)란 지명은 성수 역수가 발해(渤海)만으로 들어 가기 전에 있는 지역명이다. 이 우쩍 일어나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