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서 우공편에 삼위(三危)란 글자: 위서에 이르기(魏書云)를 옛날에 환인(桓因)의 서자(庶子) 환웅(桓雄)이 항상 천하에 뜻을 두고 인간 세상을 몹시 바랐다. 아버지는 아들의 뜻을 알고 삼위 태백(三危太伯)을 내려다 보고 가이 홍익인간(弘益人間)이라 했다[.三國遺事:魏書云。乃往二千載有壇君王儉。立都阿斯達經云無葉山。亦云白嶽。在白州地。或云在開城東。今白岳宮是開國號朝鮮。與高同時。古記云。昔有桓因謂帝釋也庶子桓雄。數意天下。貪求人世。父知子意。下視三危太伯可以弘益人間。乃授天符印三箇。遣往理之。雄率徒三千。降於太伯山頂即太伯今妙香山.]. 단군신화에 나오는 위(危)자는 사음자다. 설문해자에는 태위야(殆:危也)라 했다. 시경위풍에 나오는 올라가기 어려운 성벽“乘彼垝垣” 을 뜻한 글자라 했다[.詩經 國風 衛風 氓:氓之蚩蚩、抱布貿絲。匪來貿絲、來即我謀。送子涉淇、至于頓丘。 匪我愆期、子無良媒。將子無怒、秋以為期 乘彼垝垣、以望復關。不見復關、泣涕漣漣. ]. 이를 설명한 문구가 왕험성(王險城)이다. 험(險)자는 모든 사람들(僉)이 뽑은 지도자 검(儉)이 사는 곳을 뜻한 글자다. 중국 고전을 살펴 보면 위(危)자와 험(險)자는 단군왕검 백익을 뜻한 글자로 쓰이기도 했다[.危:〔古文〕說文》在高而懼也。从厃,人在厓上,自卪止之也。《徐曰》孝經,高而不危,《玉篇》不安貌。《廣韻》疾也。隤也,不正也。又《禮·儒行》有比黨而危之者。《註》危,欲毁害之也。又屋棟上也。《禮·喪大記》升自東榮,中屋履危。《疏》踐履屋棟高危處。又《韻會》宿名。三星。《左傳·襄二十八年註》書·禹貢》三危旣宅。《韻會》三峗,山名。通作危。史記 律書: 危,垝也. 說文解字:垝:毀垣也……
의문이 많은 사수(斯水) 삼국사기에는 주몽이 건너온 강이 사수(淹●水一名盖斯水. 淹●水或云蓋斯水)라 했다. 동명(東明)에 관한 같은 내용이 후한서와 태평어람에도 실렸다. 사수(掩㴲音斯水)를 건넜다고 했다[.太平御覽 夫餘:東明奔走,南至掩㴲音斯。水,以弓擊水,魚鱉皆聚浮水上,東明乘之得度,因至夫餘而王之焉]. 삼국유사에는 주몽이 건너온 강이 어느강인지 모르겠다(於是蒙與烏伊等三人為友。行至淹水今未詳)고 했다. 사수(斯水)의 사(斯;sī/si1/siɛ)자는 사음자가 분명 하다. 같은 음을 “虒,媤 斯 絲,㴲”란 글자로도 기록 했다. 시경 등 각종 고전에 많이 나오는 글자다[. 斯:《爾雅·釋言》斯,離也。《註》齊呂覽·報更篇》趙宣孟見桑下餓人,與之脯一朐,曰斯食之。《註》斯,析也。又《爾雅·釋詁》斯,此也。《易·解卦》朋至斯孚。《詩·召南》何斯違期。又《詩·小雅》鹿斯之奔。《疏》此鹿斯與詩·小雅》有兔斯首。《箋》斯,白也。今俗語斯白之斯作鮮。 《詩·大雅》王赫斯怒。 《集韻》或作撕,亦作廝. ]. 그러한 연유로 사수(斯水)란 여울은 고조선 사람들(斯,白也。今俗語斯白之斯作鮮)이 살던 전역에 흐터져 나타났다. 수경주에 사수(斯水)란 이름이 36번 적혔다. 이를 종합해 보면 사수는 단군조선 발생지에서 부터 조선이란 글자가 지나온 태행산맥을 따라 하북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