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정(武丁, 1250-1192BC)이 공사장에서 노예로 일하던자를 맞아드려 상나라의 중흥을 이루었다.[1] 불암성 노역장에서 얻은 즐거움 또는 조언자라 하여 부열(傅說)이란 이름을 주었다. 부열(傅說)이 와전 되여 부여(扶餘)란 이름이 중원에 나타났다. 그가 중원에 자리잡은 扶餘의 후손이고, 그 가문의 마지막 지도자가 기자(箕子)라고 필자는 풀이 했다. 부열 (傅說)을 경사로 임명(卿士傅說)하여 견학양로(視學養老)라 했다. 얻은 후 융재태묘(肜祭太廟)에 유치래(有雉來)라 했다.[2] 유가에서는 꿩이 왔다고 풀이 했다.[3] 잘못이다. 은유법 표현이다. 글자를 보면 활(雉:矢,隹)을 잘 쓰는 오환 부족이 찾아 왔다는 뜻이다. 사건 당시 고종이 조을에게 문의 했다. 조을이 답하기를 원방군자 태유지자 (遠方君子殆有至者) 라 했다. 진서에는 득치대희(得雉 大喜)라, 그들의 협조를 얻어 즐거웠다란 문구가 있다.[4] 부열과 유치씨가 살던 곳은 상나라 보다 문명이 앞섰던 곳이 분명 하다. 이들은 모두 상나라의 서북쪽에 있던 고조선 땅에 살던 사람들이다.
상나라의 뒤를 이은 서주 초기 까지는 태행 산맥을 본거지로 한 고조선 영역을 귀방(鬼方)이라고 했다.[5] 부열(傅說)을 얻고 유치씨(有雉來)가 무정에 협조한 연유로 이 곳이 있던 춘추오패의 대팽(大彭)과 시위(豕韋)를 정벌하여 중흥을 이루었다. 귀방(鬼方)이란 또깨비가 사는 또는 통치하는 지역이란 뜻이다. 상나라 북쪽 지역의 지도자를 천독(天毒)이라 했다. 산해경에 나오는 조선의 지도자다:有國名曰朝鮮、天毒,其人水居,偎人愛人
[1].三國志 弁辰傳: 國出鐵,韓、濊、倭皆從取之。諸巿買皆用鐵,如中國用錢, 欲其褊。
[3]. 《尚書大傳》曰:「高宗祭成湯之廟,有雉升鼎耳而鳴。高宗問祖乙,祖乙曰:『遠方君子殆有至者。』. 尚書 商書 微子: 父師若曰:「王子!天毒降災荒殷邦,方興沈酗于酒,今殷民乃攘竊神祇之犧牷牲用以容,將食無災
[4].晉書: 毅次擲得雉,大喜,褰衣繞床,叫謂同坐曰:「非不能盧,不事此耳。」裕惡之
[5].詩經 蕩:文王曰咨、咨女殷商。如蜩如螗、如沸如羹。小大近喪、人尚乎由行. 內奰于中國、覃及鬼方。 焦氏易林 -豐之: 坎:百狗同室,相嚙爭食。枉矢西流,射我暴國。高宗鬼方,三年乃服.
Retired physician from GWU and Georgetown University in 2010 2011: First Book in Korean "뿌리를 찾아서, Searching for the Root" 2013: Ancient History of the Manchuria. Redefining the Past. 2015: Ancient History of Korea. Mystery Unvei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