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餘州) 북주후(北洲侯) 무강(武康) 삼국유사에는 백제의 제30대 무왕(武王: 600년- 641년 )에 관한 설화가 실려있다. 성은 부여(扶餘), 휘는 장(璋), 그의 어머니가 용과 관계하여 아들을 나았다하여 그를 서동(薯童) 이라고 했고, 고본(古本)에는 무강(武康)으로 기록되였다고 했다. 필자는 고기에 실렸다는 무강(武康)이 무왕(武王)을 잘못 기록 한게 아니라 무경(武庚)이란 글자를 잘못 바꾸어 기록 했다고 보았다. 이는 글자가 비슷한 무경(武庚)이란 글자를 무강(武康)으로 바꾸어 놓고 혹은 “일기사덕 (一耆篩德) 이라 부른다. 경신(庚申)에 등극하여 41년을 다스렸다”고 한다 . 무경(武庚)이 상나라의 마지막 태자로 삼감의 난이 실패하여 북쪽 발해만 연안에 있던 상나라 유민들이 살던…..
삼국사기 (三國史記) 에 실린 낙랑(樂浪) 과 대방(帶方)-2: 삼국사기에 실린 삼국의 발생에 관한 기록에 신라,백제, 가야에 관한 기록이 간략하다. 백제 땅에서는 백제본기1 에 낙랑(樂浪)이 여러번 나온다. 백제의 기원을 두 갈래로 기록했지만, 첫 아들 비류(沸流)가 새운 나라에 관한 기록이 거의 없다. 반대로 중국기록에는 두쩨 아들 온조왕(溫祚)에 관한 기록이 없다. 이를 편의상 필자는 “비류(沸流)가 새운 대륙 백제(大陸百濟)와 온조가 새운 나라를 동백제(東百濟)”라 가칭하여 설명 한다. 대륙백제(大陸百濟)의 시조 비류(沸流)는 졸본부여를 떠나 옛부터 전해 오던 통상로를 택했다. 발해만 서안을 따라 패수와 대수를 건너 (渡浿、帶二水) 당산 천진…..
낙랑(樂浪) 과 대방(帶方)의 위치가 발해만 서쪽 해안 일대로 판정되고 보니, 삼국사기 (三國史記)에 실린 신라, 백제, 왜가 모두 남만주 해안에서 발생 했다는 근거가 분명하다. 앞에서 거론한 바와 같이 전쟁을 목격한 사마천이 남긴 사기에는“현토(玄菟) 낭랑(樂浪)하는 이름”이 없고, 광개토대왕 비문에도 그런 글자가 없다. 고구려와 백제가 남겼다는 사서가 있었다고 하나, 삼국사기(三國史記)의 편집진은 이러한 한국사료를 인용치 못한듯 하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실린 대방, 현토 ,낙랑 (樂浪)하는 낱말을 종합해 보면 삼국지, 후한서, 통전등 후한시대 이후에 편찬된 중국사료에 의존하여 이치에 어긋나는 앞뒤가 틀린 기록을 남겼다. 삼국사기 (三國史記)에 실린 여러…..
고전을 이해하기 위한 어휘사전 편찬. 이씨가 주장하는 “고전을 이해하기 위한 어휘사전 편찬이 필요하다”는 문제는 학문을 하는 사람이면 언제나 느끼는 점이다. 글을 쓰는 사람은 한마디 한마디 깊히 생각하여 사용한다. 한국사람으로 한국학, 언어학, 한학등에 조예가 깊으신 분으로 애국충정에서 여러분들의 의견을 대변 하셨다고 본다. 이는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되도록이면 한자를 피하고 우리 고유 어휘를 살려 한글 전용을 주장하던 필자는 한국상고사를 다루면서 이 문제를 절실히 느끼고 있다. 이 씨가 대변한 문구 는 한자를 더 많이 써야 한다고 나서던 분들의 목소리다. 한국고전에 실린 어휘는 크게…..
외로운 여정: 40평생을 의학에다 보내고, 뛰어든 상고사 찾기는 참으로 “외로운 여정”이다. 많은 재야 사학가들이 활동 하지만 필자는 아직 벗을 찾지 못했다. 모두 저나름대로 다른 패이지를 읽고 있기 때문이다. 다시한번 경종을 울려 본다. 한국상고사는 상형글자인 한자에, 옛적 노래를 적은시경 (詩經)에, 각종 중국문헌속에 숨어 있다고! 삼한의 후예들을 연구하려면, 흔히들 전사사(前四史)라고 부르는 중국 초기의 역사서 네권인 사기(史記), 한서(漢書), 후한서(後漢書), 삼국지(三國志) 를 사료의 핵심이라 한다. 그러나 사마천은 조선열전을 쓰고 (의식적으로?) 끝을 마무리 짖지 않았다. 낙랑 현토하는 글자가 없다. 사기에는 지리지가 없고, 하거서(河渠書)에는 만주땅에 있는…..
낭랑(樂浪)에 잠긴 사연 (事緣)들-5: 삼국정립 초기에는 낙랑(樂浪)이란 글자가 여러 곳에 실려 있다. 그러나 그 위치가 어디였나를 뚜렸하게 판가름할수 없게 되여 있다. 삼국사기 여러 곳에 나타 나는 낙랑(樂浪)이 어느 지역을 뜻했는지, 또 서로 어떠한 관계가 있었나 하는 문제는 차후에 다시 살펴 보기로 한다. 낙랑(樂浪)이란 글자를 살펴 보면 그 앞에 한(漢) 또는 자(自)하는 글자가 보이고 뒤에는 태수(太守)라는 직책을 붙었다. 이는 모두 한나라가 통치하던 지역에 있던 한낙랑(漢樂浪)이란 뜻이 분명하다. 한낙랑(漢樂浪)이 아니였던 낙랑의 대표적인 예가 호동(好童, ? ~ 32년)왕자가 낙랑공주(樂浪公主) 를 만났던 곳이다. 중국기록에는…..
삼한(三韓)의 후예가 통치한 해안선이 한해(翰海): 중원의 내륙 지방은 대흥안령 서쪽에 살던 고조선의 후손들이 통치 했고, 대흥안령 동쪽에 살고 있넌 삼한의 후예들이 해안선을 따라 배길로 교역을 했다. 이를 한해(翰海)라 했다. 삼한의 후예들이 바다를 통치 했다. 뱃길을 처음 시작한 곳을 숙신씨의 고향이라 했고 그들이 새운 나라를 산해경에서는 해국(蓋國)이라 했고, 다른 사서에는 맥국(貊國)이라 했다. 왜(倭) 북쪽에 있다고 했다. 한서에는 조선이 바다 한가운데 있다고 했다 . 천진시 일대에서 발해 서북쪽 해안을 따라 조양에 이르는 지역이 삼한 (三韓)의 출발 점이고 한무제 친입으로 이들이 흐터져 중국…..
: 오호십육국시대: 북쪽에서 황금시대를 이루었던 고조선은 대흥안령을 경계로 동쪽과 서쪽에 살던 사람들의 생활 상이 달라지게 되였고, 전국시대 말기에는 중원과의 교류에도 뚜렷함 차이가 나타나 서쪽에 살던 부족의 무력이 우세 하게 되였다. 진시황이 중원을 통일한 이후에 잔여 무기를 획득한 서쪽 새력은 모둔선우(冒頓單于)의 지도 아래 대흥안령을 너머 동쪽에 있던 동호왕을 살해 했다 . 옛 동호왕이 다스리던 지역의 풍부한 자연 지원을 이용하여 다시 자라나던 위만조선의 세력은 한무제의 야욕에 또다시 비참한 희생을 당했다. 중원 세력의 친입로 청구 낙랑구로 기록되던 발해만 서안 일대가 5-세기에 걸처 고조선…..
청구(靑丘)땅을 한반도로 인식: 고구려 땅에 속해 있던 지역이라 고구려 초기 역사 기록에 실려 있어야 할터인데 삼국사기에는 당태종이 고구려를 친입할때 “XX를 청구도행군 대총관 (為靑丘道行軍大摠管)으로, xx는 요동도행군 총관(遼東道行軍大摠)으로 하고 수군은 (산동성 발해만 북쪽 해안에 있던) 래주(萊州)에서 떠나”하는 문구가 있지만, 고구려의 수도가 오늘의 평양이라고 인식했던 터라 청구란 지명이 어디를 뜻하는지를 몰랐다고 본다 . 삼국유사에는 청구(靑丘)란 글자가 고구려 멸망 이후에 처음으로 나타나 한반도 남단을 의미 했다. 이로 보아 고려시대부터 청구가 우리나라를 부르는 호칭라고 인식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후 조선시대에는 청구영언(靑丘永言)을 비롯하여 청구(靑丘)란 이름이…..
삼한 (三韓)의 다양한 글자들: 진수가 사용했던 “꼬까리 모양의 모(牟)자를 그린 상형 글자 변(弁)자를 그러한 모자를 쓰던 사람이 법관이였다 하여 법변자 변한(卞韓)으로 바꾸어 썼다. 변한이 다른 글자(示/卞/ 弁韓)로도 적혀 있다. 모 라는 소리 글자(牟)를 소우는 소리의 상형 글자다. 소우는 소리에 비슷한 글자의 하나가 말 마(馬)자다 . 변한이 마한으로 둔갑 했다. 삼한이란 뜻글자 자체에 의견이 분분하니 그 영역 또한 여러가지로 설명해 왔다. 그러다 보니 삼한의 후예가 되는 “신라, 백제, 가야연맹, 왜인”들이 살던 영역이 어디였다고 확실히 단정할수 없게 되였다. 어떤 글자가 의심스러워 무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