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Crane Dance Battle Formation appears in the last major battle against Japanese navy. Admiral Lee of Korea displayed it as calling the final battle cry first time. The name is very unusual. Naming after Birds of prey would be the appropriate one. By reviewing the situation of the naval war and Korean tradition, he named after the traditional folk religion believing the Seven Stars in the north originated from the Founding Father and National Foundation Day in Korea.
이 충무공 처음 실천 했다는 학익진(鶴翼陣)의 뜻.
칠성 사상에 관해 뒤돌아 보면 아래와 같은 흔적이 아직도 남아 있다.
소 등에 짐을 싣고 배 밑으로 돌려 잡아매는 끈을 “북두 끈”이라 하고, 당긴 끈의 방향을 바꾸려고 끝에 붙인 혁띄 장식과 같은 필수품 고리를 “북두 갈고리”라 했다. 일을 많이 하여 [손마디가 굵어 지면 북두 갈고리 같은 손] 이란 표현을 했다.
다음사전에는 나무 끝에 낙시바늘을 달았다는 상형자를 자루 표, 구기 작, 표적 적, 북두자루 표(杓)라 하고 강희자전에는 영자 풀이로 별좌 이름 (name of a constellation)이라 했다. 설문에는 북두칠성의 자루라 했다.[1] 광운에는 폭풍 표(飊)와 같은 뜻이 있다는 글자 풀이에서 북두칠성의 손잡이라 했다. 북두 칠성좌에는 호된 시련에서 희생 당한 사연이 있다.
칠성신앙의 필수 품이 정하수다. 정하수를 아무도 다녀간 흔적이 없는 우물에서 처음으로 떠온 “찬물 한그릇”을 의미 했다. 찬물 한그릇이란 문구가 시경에 있다.
모시정의에 따르면 비풍신대(邶風 新臺) 첫구절에 맑을 차 (泚)자 “차하수 미미 (泚河水彌彌 燕婉之求)란 구절이 있다.[2] 미 두글자를 왕성한 모습 (彌彌,盛貌) 이라고 풀이 했다. 연완지구(燕婉之求)란 여인의 절실한 소원 이란 뜻이다. 이를 현존하는 시경에서는 유목민의 지도자를 뜻한 두루미 미(彌)자를 바꾸어 “新臺有泚、河水瀰瀰”라 했다. 처 놓은 [어망에 학이 걸렸다]는 표현도 있다. 북풍(邶風)이라고 읽는 글자는 북경(北京)에서와 같이 햇빛을 숭상하던 해비씨(解枇氏)들이 살던 마을 이란 글자다.
고조선 후예들 지도자가 살던 곳이 금미달 (今彌達)이다. 큰 활을 지닌 유목민 지도저를 두루미(彌; 弓 爾)라고 비하 하였다. 이를 학(鶴)자로 기록 하여 한국 병풍에는 사슴과 같이 나타나는 새다.
중국 문헌 각종 천문지에도 숨어 있었다.사기 천관에는 견우를 희생 (牽牛為犧牲)으로, 그 북쪽에는 하고 큰 별(其北河鼓。河鼓大星), 그 좌우에는 여러 장군, 씩씩한 여자(婺女)도 있었다. 그 북(뒷)쪽에 천녀손 직녀(織女,天女孫也)가 있다.[3] 태평어람에는 하고를 견우라 했다.
시경에는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같은 시문에, 백익을 살해한 하(夏) 왕조를 세운 개(啟), 상나라 시조 설(契), 기자를 뜻한 기(箕)성이 남쪽에, 북쪽에는 북두(北斗)성과 같이 대동 (詩經小旻之什大東) 편에 나온다.[4]
진서에는 “斗為人君之象”라, 또 “為帝車”라 했다.[5] 지도자의 수레 역활을 했다는 뜻이다. 또한 “北七星曰天狗,主守財”라, 즉 [주인을 지키는 하늘의 개]라고 기록 했다. 바람을 맊는 다는 뜻의 병풍은 우사(雨師)를 뜻했다. 그가 견우성이 되여 백익을 보호 했다.
옛적 군영에서는 수비와 공격시 다른 군사 배열을 했다. 수비태세에는 항상 칠성진(常陳七星)을 쳤다. 한산도 대첩에서는 충무공이 전대미문의 학익진(鶴翼陣) 이란 표현을 썼다. 적군을 공격하기 위한 군사 배치라면, 독수리가 날개를 편 형태의 진이란 표현이 옳다. 한국의 신선도 병풍에는 사슴과 학(鶴)이 필수 요건이다. 이 충무공이 최후의 결번을 앞부고 한국 전통 신앙에 따라 칠성님께 기원하는 뜻이 담긴 표현이라고 본다.
[1]. 說文解字 : 杓:枓柄也。从木从勺. 廣韻 飊 杓:北斗柄星天文志云一至四爲魁五至七爲杓
[2]. 毛詩正義: 新臺有泚,河水彌彌。泚,鮮明貌。彌彌,盛貌 詩經 邶風 新臺: 新臺有泚、河水瀰瀰。燕婉之求、籧篨不鮮. 新臺有洒、河水浼浼。燕婉之求、籧篨不殄. 魚網之設、鴻則離之。燕婉之求、得此戚施
[3]. 毛詩正義: 新臺有泚,河水彌彌。泚,鮮明貌。彌彌,盛貌 爾雅》曰:河鼓謂之牽牛
[4]. 雖則七襄、不成報章。睆彼牽牛、不以服箱。東有啟明、西有長庚。有捄天畢、載施之
[5]. 晉書: 北斗七星在太微北,七政之樞機,陰陽之元本也。故運乎天中,而臨制四方,以建四時,而均五行也。魁四星為旋璣,杓三星為玉衡。又曰,斗為人君之象,號令之主也。又為帝車,取乎運動之義也。又魁第一星曰天樞之. 常陳七星,如畢狀,在帝坐北. 北七星曰天狗,主守財.
Retired physician from GWU and Georgetown University in 2010 2011: First Book in Korean "뿌리를 찾아서, Searching for the Root" 2013: Ancient History of the Manchuria. Redefining the Past. 2015: Ancient History of Korea. Mystery Unvei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