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na Gara(任那加羅) engraved in the Stele was in the China
Abstract:
The location of Imna Gara is one of the most disputed issues in the NE Asian history. The Korean historiographies used many PLCs. They appeared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after 6th centuries. The logograms Imna Gaya(任那加羅) appeared in the Tong-dian (通典) as explaining the history of Silla . Silla was subservient of Baekjae at the beginning. As Goguryeo and Baekjae were fighting, lots of people ran into the Silla territory. Hence, Silla got bigger and stronger, and attacked the several town states Gara and Imna. They became one of Three Hahn and stay in between Goguryeo and Baekjae by sticking out canine teeth in between two countries. Song era encyclopedia recorded the same names under the section of Wei by citing the source of information as the Book of Later Han . The primary source of information of Wei is the section Wei (倭人傳)in the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The southern dynasty chronicles listed Imna Gara(任那加羅) as the town states under the Five Kings of Wei(倭五王). The last time the King of Wei appears along with the King Jangsu of Goguryeo.
The Gwanggaeto Stele was installed in the Manchuria a crossed the Yalu River in 414 by his son the King Jangsu of Goguryeo.
Japanese view on this subject have been well publicized to the western world. The same opinion is in the Wikipedia.
This author has been raising the new revisionist theory. The scholars who study the ancient history of NEA written with archaic logo-grams ought to approach from the very beginning armored with reasoning to pull out a conclusion behind the veil of ignorance. All those historiographies dealt with this subject are later than the engraving. By analyzing those logograms and ancient scriptures related to the migration of Dong-yi, it is apparent that the Imna Gara engraved in the Gwanggaeto Stele was in the SW corner of the Balhai Bay which was the gate to the Sea of Hahn.
Presentation of evidences:
The location of Imna Gara is one of the most disputed issues in the NE Asian history. Objective of this presentation is to confirm the location of Imna Gara (任那加羅) engraved in the Gwanggaeto Stele.
Japanese scholars interpret the phrase Imna Gaya(任那加羅) as one of evidences that Silla was under Japanese subservient. The following is the sentence they are citing ever since. Following is the copy (拓本)from the Stele they presented:
羊不可稱數於是旋駕因過襄平道東來候城力城北豊五備海遊觀土境田獵而還百殘新羅舊是屬民.由來朝貢而倭以辛卯年來渡海破百殘□□新羅以為臣民以六年丙申王躬率水軍討科殘國軍.
It is obvious that the engraving ought to be under the archaic Korean syntax. They used logograms that had been evolved from the Yaemaek people used to use in the Shanxi province. They were enslaved, worked as clerk, left the clerical script (隸書) during the western Zhou. Certain logograms could be different to the current interpretation based upon the dictionary that southerner developed after Sui dynasty.
Two logograms yi(而 以) by Korean are the main issue that I present as an evidence of new revisionist theory.
Those two logograms had been used for log time in the pre-Qin era scriptures and in the Stele as well. Logogram Yi (而, 髵) is an imitation of facial hair (象毛之形) of a person from the west, and used as a person who is mature, competent, and well qualified .
Logogram yi(以 이) has been in use as a connecting sound at the end of subject before the main verb at the end of sentence. It is equivalent to the preposition in English. Hence, it could be called as post-position. Depending upon the closing sound of the subject, the other sound such as“는, 가” being used as post-position as well. Korean say Baram yi (以) bunda means it is windy. Nae ga(가) haet-da means I did.
[The sentence in dispute “而倭以辛卯年” ought to be interpreted as a Korean syntax as following: As qualified Wei-rin came (以來)in the Fall of the year Sinmyeo(辛卯). King used them as sailors, crossed over the sea, and defeated the Baekjae strong hold surrounded by the sea…, so on. This event is recorded in the Samguk sagi as well :
The king took charge in the October of his first year, attacked the Citadel Kwan-mi(關彌城) which was surrounded by the sea. King attacked the citadel with 7 directions and took 20-days to take it.
Thereafter, Baekjae lost sea route along the northern shore of Liaodong Bay connecting two capitals; one in the entrance of Daedong river and the other in the Gate to the Sea.
Discussion:
It is very important to follow the trail of migration and track down their foot prints. The original birth place of Old Joseon has been emphasized thoroughly. All the names of places had been briefly explained. Relocation of the capital is the key to understand them.
Pyeongyang (平壤) engraved in the Stele is in the Manchuria:
As the Baekjae and Goguryeo were fighting, the lord of citadel of Bold Mountain(禿山城主) of Baekjae ran into Silla in the year of 18th during the Naemul (奈勿尼師今; r. 356–402) of Silla. It is a nick name of the Citadel Kwan-mi (關彌城) engraved in the Stele at the end of Liaoyang peninsula . After obtained the critical fortress, the king Gwanggaeto restored the citadel in the east and relocated people from the Pyeongyang (平壤) there and appointed Ge-ryeon(巨連) as the crown prince who installed the Stele .
Goguryeo set the capital in the east of Liao River marsh and west of Yalu River and mountain ranges, had to face western cousin ever since and yet, no evidence of invasion from the east of Goguryeo. The ruling clan of the western cousin have changed names many times and recorded as “扶餘, 匈奴,漢, 鮮卑; 秦, 晉,魏, 燕, 倭”and so on.
They were all descendants of Old Joseon that is recorded as Buyeo.
They revolted against western Jin and put the continent in the turmoil. All the tribal names were related to the Buyeo. The clan name Murong(慕容 ) from(冠步搖冠; bù yáo), The Yuwen (宇文)clan from the sea received from the heavenly god, the Tuoba Wei (拓跋魏) from the Asadal, and Wei(倭) from Hahn (汗,韓) and so on .
The grandpa of Gwanggaeto, King Gogugwon (故國原王: r. 331–371) had faced shameful defeat, lost the capital Hwando in 341, and remain of his father. The invader Murong clan from the west also took his mother as hostage. The Murong clan was defeated by their western rival Qin Wong-maeng秦王猛). Next year, King Gogugwon moved the capital to Pyongyang where he was killed by the Baekjae invasion .
Gwanggaeto the great stand up strong and took revenge. Western nemesis Murong clan was replaced with one Goguryeo descendent. They changed his name Gao Yun (高雲, Go Un (고운) in Korean: died 409) to Murong Yun (慕容雲) and rearranged the starting point of Northern Yan (北燕; 407 or 409–436). Gao Yun if Northern Yan and Gwanggaeto the great agreed that they share the same blood line and didn’t fight each other.
The name of the place engraved in the Stele are all in the Balhae-Liaodong Bay region. Followings are few examples:
[過富山負山,鹽水上, 過襄平道, 東來候城力城北豊五備海遊觀土境田獵而還百殘新羅舊是屬民. 倭]
The phrase “過富山負山” they passed the Yiwulü Mountain and the Galsuk Mountain behind. The means “鹽水上,過襄平道” means the north of salt farm and pass the road to the Yang-pyong(襄平) where the Yan Wall ended as written in the Shiji. Michuhol(彌鄒忽) where the Biryu entourage from Buyeo settled in the old Daebang territory was recorded as the citadel of Michu(彌鄒城), and so on. Silla Baekjae and Wei were around the western shore of the Bay. Wei (倭) has been recorded as Hahn and country of Hahn(汗人, 汗國) in the Xian Bei section .
It is clear that the Imna Gara (任那加羅) was in the SW shore of Balhae bay where the Prefecture by the Chang Hae(滄海之郡) had been in the Gate to the Sea. Pyeongyang (平壤) was in the east of Liao river in the southern Manchuria.
The Imna Gara(任那加羅) and Silla moved the capital to the Korean peninsula:
Many PSMCs of Gara (加羅: 伽落國, 伽耶) appears in the Korean historiographies. It is related to the general Kim Yu-shin (金庾信: 595-673) whose the ancestor is known to be the King Sureung (首露: ? – 199) and Queen Heo Hwang-ok (許黃玉, 32-189) who came from the south Buddhist country by the sea to the state of Geumgwan Gaya in southeastern Korea .
The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of Korean known as the gayageum(伽倻琴) came from the kingdom of Gaya . This string musical instrument is related to the ancient lute(筑) and knife money in the Bianjin section by Chen Shou . It is the same region where Silla general Sok Uro(昔于老, ? ~ 249) who left an episode : He teased the Wei envoy by saying that he wanted King of Wei as a slave working at the salt farm. The salt farm (鹽水上) is engraved in the Stele along with Yang pyeong(襄平) of Liaodong by the Gate to the Sea. The ancient Silla was in the western shore of Balhae Bay nearby Yi seogug (伊西國), associated army decorated with Bamboo leaf(竹葉軍) during the King Michu (未鄒王: r. 262–284) of Silla, and gradually moved up to further north to the Liaodong bay. The logogram King Michu is another PLCs as the Michuho(彌鄒忽) where Biryu settled in the Tianjin region. This region was explored under the Prefecture by the Chang Hae(滄海之郡) or Fallacy of Chang hae Commandery already.
The Korean historiographies used many PLCs; Gara as ”駕洛, 迦落, 加羅, 伽羅, 迦羅, 柯羅”or recorded as Gaya(伽倻, 加耶, 加良, 伽耶) and so on. Yet, Imna was very consistent without any other PLCs. It is reasonable conclude that Imna is a semantic description and Gara, Gaya, or Garang are PLCs. King Ha-ji(荷知) of Garak guk(加羅國) from the Korean peninsula sent envoy to the coronation of Southern Qi (南齊:479-502) first emperor in 479. It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events. Lots of countries sent envoy including Goguryeo, Wei and many countries along the SE Asian continent. They granted King of Wei control the “倭·新羅· 任那·加羅·秦韓·慕韓” six countries.
The same names with same logogram(加羅國, 新羅) which would have been both in the East and West of Hahn-hae that i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East cost of China appeared in this event. They divided from their birth place in the Gate to the Sea. One group moved to the northeast along the southern Manchuria and Korean peninsula. The other took the south along the east coast of China.
This event took place after King Jangsu of Goguryeo killed the King Gaero (扶餘慶, 455–475) of Baekje. Baekjae settled to th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Record about the Baekjae in this event suggested that the glory of Baekjae in the original birth place competing with Goguryeo in the east and Wei -ro (魏虜, 元魏) of Tuoba clan in t建武he west. The southerners called the northern enemy Northern Wei (元魏) at that time as Wei -ro (魏虜) whom the King Dongseong of (牟大r. 479–501) of Baekjae defeated sent letter to the Liang court in 495 asking the old title that his grandpa Biyu (牟都,毗有王?: r. 427–455) of Baekjae have had back with the phrase “冒涉波險,盡其至誠” that means the king of Baekjae was the other side of the Hahn-hae . He used Buddhist names(法名) such as “沙法名、贊首流、解禮昆、木干那” equivalent to the Christian name after christening ceremony to his general. There was no evidence that he got the old title back. Baekjae was in downhill.
It was the only once that the Garak guk (加羅國) sent envoy to the coronation. They allowed to use the title king. At the same event, King Wei allowed to govern Imna Gara(任那加羅) and Silla. It is obvious that as Nakrang had been in two places, Gara(加羅) was in two places.
Silla sent envoy to the continent after moved the capital to the Korean peninsula accompanied with the Baekjae delegates from the Korean peninsula. Silla was in the SE of Baekjae 5,000-ri away . It is clear that the main capital of Baekjae was in the Tianjin region and Silla was in the Korean peninsula. Yet, the King of Wei was authorized to govern six town states including Silla, Iman Gara. They divided to two direction from the Gate to the Sea. Names were spread out to the both side of Hahn-Hae. Kings’ of Baekjae were not consistent .
One more mystery of King Wei (倭王贊) unveiled. It was a result of misinterpretation of original sentence and logogram “贊” meaning “help, support, assist, aid” as to the name to the King. Details are under Korean text in my website.
Silla moved the capital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after Garak guk (加羅國) had settled in the southern end of Korean peninsula and sent envoy to the continent in 521 escorted by the Baekjae delegates. Thereafter Sill absorbed the Gara confederal.
Japanese view on this subject have been well publicized to the western world. The same opinion is in the Wikipedia. The name of the place engraved in the Stele as Imna Gara and Silla was in the southern Manchuria and the Tianjin Vicinity of China. Details are in the Korean text . The Japanese grafted those names to th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along with Five Kings of Wei.
Yet, no evidences of Wei invasion into the Gara or Silla after Silla moved to the Korean peninsula around the late 5th century. Group of Silla and Gara people from the mainland China sailed down to the SE Asia arrived in the Sri Lanka. They met Persian merchants who left the epic love story Kushnameh in Persia. The place is in the name “Kus” where elephants were roaming. Princess name rang (郞) as in the princess Nakrang and Kayanian reveal that she was from Gaya. But locals thought she was from China.
It is also known that good number of current Korean words are in use by the Sri Lanka people.
Time, location name of the places, and event being engraved in the Stele were in the southern part of Manchuria during the Later period of Eastern Jin dynasty(東晉:317–420). Yet, all those names are still in dispute. The millennium old namely Chinese hermeneutics (破字,解字, 苦訓) which is equivalent to the postmortem examination and common sense logic is the way to settle the dispute.
End.
광개토대왕 비문에 실린 임나가라(任那加羅)의 현위치:
서론: 광개토대왕 비문에 실린 임나가라(任那加羅)란 글가가 있다. 중국 문헌에는 중국 문헌에는 동진 이후 남조 (宋, 南齊, 梁)역사서에는 왜오왕(倭五王)이 신라를 포함한 여러나라를 다스렸다는 중에 임나 가야가 처음으로 나타났다. 왜왕의 혈통을 비미호라 했다. 그후 통전에는 신라가 중원에 사신을 보냈던 사실을 설명 하면서, 가라와 임나 여러나라를 흡수하여 삼한 땅을 모두 점령했다. 백제에 부속 되었던 신라가 그렇게 성장한 이유는 백제가 고구려를 정벌하는 통에 노역을 피하여 지도자가 많은 사람들을 대리고 신라에 귀순하여 강국이 되었다고 했다. 일본학계에서는 한반도에 있던 임나가라 (任那加羅)를 일본이 지배 했다고 한다. 시비를 밝히려고 여러 모로 옛 사료와 그에 나타난 글자를 풀어 보았다.
한일 사료는 모두 광개토대왕 후에 전승이나 중국 사료를 근거로 편술 되었다. 광개토대왕비는 아들 장수왕이 서기 414년에 세웠다. 광개토대왕 비문이 원조다. 임나가라 (任那加羅)는 옛적에 창해군이 있었던 발해만 서남쪽 해안에 있었다.
본론: 본고의 요지는 광개토대왕 비문에 실린 임나가라(任那加羅)의 위치 확인이다. 비문 일면 하단에 색인된 문장을 근거로 일본이 신라를 신민으로 삼았다는 증거라고 한다. 아래 문장이 일본에서 올린 비문 탁본이다:
羊不可稱數於是旋駕因過襄平道東來候城力城北豊五備海遊觀土境田獵而還百殘新羅舊是屬民.由來朝貢而倭以辛卯年來渡海破百殘□□新羅以為臣民以六年丙申王躬率水軍討科殘國軍
비문은 한글 어순으로 풀어야 한다. 어조사로 풀이하는 이(而ér, 以yǐ) 두 글자가 당시 만주에서는 다르게 사용 되었다. 흔히 “말 이을 이, 而”로 읽는 글자를 잘못 풀이 했다. 이 글자는 얼굴에 수염이 자란 건장하고 능력이 있는 서쪽에 서온 월지국 사람(而, 髵)을 묘사한 상형 글자다 .
[ 써 이(以)라고 읽는 글자는 “주어 다음에, 동사 앞에 넣어 문장을 완성” 한다. 영어에 전치사(preposition)와 같은 역활이라 후치사(post-position)라 는 표현이 적합 하다. 주어의 마지막 음에 따라 “는, 가” 란 음을 넣게 된다. Logogram yi(以 이) has been in use as a connecting sound at the end of subject before the main verb at the end of sentence. It is equivalent to the preposition in English could be called as post-position. Depending upon the closing sound of the subject, the other sound such as“는, 어, 가” being used. Korean say Baram yi (以) bunda means it is windy.]
문제의 “능왜이 신묘년 래(而倭以辛卯年來)란 문구는 한글 어순 대로 풀이 하면, 그 전의 전쟁에서 얻어온 왜인 포로 중에 바다에서 배를 잘 다를 수 있는 기술(才能, skill)이 있는 자들이 드디어 “신묘년(가을)에 대왕의 군영에 와서 (來)” 이들을 사공으로 사용(以)하여 노를 젓는 배를 타고 고구려 군사가 바다를 건너 (발해만 동남쪽 요동 반도 끝에 이르러 백제가 가장 중요시 하던 통상로에 있는 )사면이 바다로 싸인 성을 함락 했다는 뜻이다. 이 사실이 삼국사기에 다음과 같이 실려 있다:
대왕 원년 겨울 10월에 백제의 관미성(關彌城)을 쳐서 함락 시켰다. 그 성은 사방이 험준하고 바닷물에 둘러 싸여서 왕은 군사를 일곱 갈래로 나누어 공격 한지 20일 만에야 함락 시켰다 .
이 후로는 천진항(미추홀)에서 요하 하구를 지나 대동강 하류(온조 백제 수도 漢城)에 이르는 백제의 동 서 두 큰 도시 해상로가 두절 되었다.
삼한의 후손들이 만주에서 한해를 따라 한반도 서남 해안을 지나 일본 구주로 옮겨 온 시기와 과정을 살펴 보아야 합당한 풀이가 나온다.
글자가 다르지만 가라(加羅: 伽落國, 伽耶)란 이름은 김수로왕의 가락국이 있다. 김유신의 선조가 남가야 시조 수로왕의 후손이라 했다 . 허황후는 배를 타고 서쪽에서 왔다. 지도와 문맥을 살펴 보면, 북쪽에도 가야가 있었다고 인식 했다고 풀이 할수도 있다.
가라(加羅)는 가야금 (加耶琴)과 관계가 있다. 그러나 만든 사람,우륵(于勒) 의 출생지와 생몰연대가 알려 지지 않았다. 변진전에 실린 축과 같은 현악기가 가야금(伽倻琴)의 원조라고 논증 했다 . 삼국사기에는 [왜왕을 잡아다 염전에 노예(鹽奴)로 부려야 겠다]는 일화를 남긴 석우로(昔于老, ? ~ 249년)전에 가라(加羅)라는 글자가 처음 실렸다 . 비문에 실린 염수상 (鹽水上)에서 일을 시키겠다던 지역이다. 통일 신라 이후 사람 강수(强首:~ 692년)가 임나 가랑인 (任那加良人) 이다.
광개토대왕 비문에 실린 아단성(阿旦城) 또한 고구려 백제 대방 신라와 관계가 있다 . 고구려가 대방을 공략하려 해서, 대방왕(帶方王)의 딸을 부인으로 택했던 백제 척계왕(責稽王,재위: 286년 ~ 298년)이 출병하여 대방을 도와 주고 아단성과 사성(阿旦城、蛇城)을 수리 했다. 아단성은 무라성과 부산성 (富山城。武羅城) 가까이 요동만 서남쪽에 있었다. 후주 무제 (後周武帝: 543년 ~ 578년)가 고구려를 요동을 친입하여 온달(溫達) 장군이 방어 했다. 그는 고구려 평강상왕(平崗上好王, 平原王,재위: 559년 ~ 590년)의 사위다. 후에 신라와의 전쟁에서는 온달 장군이 아단성에서 전사 했다 . 남만주에 있던 신라는 後周武帝 이전에 한반도로 옮겨 왔다.
삼국유사에는, 시대가 뚜렷치 않은 천복 5년 (太祖天福五年)에, 다섯가야 이름자를 바꾸었다(改五伽耶名)고 밝혔다 . 삼국사기에는 수로왕이 후한광무18년에 귀봉에 올라 내려다 보고 가락구촌(駕洛九村) 을 택해 나라를 세웠다고 했다. 김유신은 소호의 후손(少昊之胤)이라 했다. 소호의 아들이 전욱 고양씨다. 김유신은 전욱 고양씨 의 후손이다 . 옛적에 남만주에서 발생했던 여러 사건들을 한반도 끝으로 잘못 풀이 했다.
사료를 종합해 보면 광개토대왕 이전에도 남만주에서는 가라란 지명을 사용하고 있었다. 같은 이름을 [가야, 가라, 가락, 가랑, 가량]으로도 적었다. [加羅,駕洛, 迦落,加羅, 伽羅, 迦羅, 柯羅, 또는 伽倻, 加耶, 伽耶, 加良) 라고도 하고, 지도자를 한(큰, 角干, Kahn)를 한(阿羅漢)이라고 했다. 임나(任那)는 훈역한 글자로 일반명사다. 여러 글자로 적은 가라는 어느 특정 소읍국가의 고유명사다. 가라는 소읍국가의 연맹체(加羅諸國)였다.
일본 학자들이 인용한 사료 신묘년조는 앞서 풀이 했다.임나가라(任那加羅) 와 신라(新羅)란 이름자가 등장한 시대와 장소가 비문에 적혔다. 신라와 가라 연맹체가 한반도에 정착한 이후에는 왜(倭)가 가라 또는 신라 수도에 창궐 했다는 기록이 없다. 사건의 발생 장소와 시대를 잘못 인식 했다. 그러한 정치 집단이 언제 한반도와 일본 열도에 정착 했나를 밝혀야 한다.
한중 기록에 나타난 임나가야(任那加羅)는 백제와 신라가 수도를 한반도의 남쪽으로 옮기기 이전이다. 이러한 사실을 앞서 신라가 경주로 수도를 옮긴 과정에서 설명 했다 . 고구려에 인질로 갔던 실성왕(實聖尼師今: 재위 402년 ~ 417년)이 돌아와서 평양으로 연결되는 부교를 만들었다. 그 이전 내물 이사금 (奈勿尼師今;제위. 356–402) 시절에 백제독산성주 (百濟禿山城主)가 300여명을 이끌고 신라로 도망 갔다. 독산(禿山)이란 대머리산 (Baldhead mountain)이란 뜻이다. 백제 온조왕이 독산성을 쌓았다. 신라, 백제, 고구려 본기에 나타나는 산성이다. 백제 건국 초기 기원전 8년에 말갈과 접해 있던 최리의 낭랑(樂浪)국이 처들어 오는 길목에 독산(禿山) 구천(狗川)두 성책을 쌓아 낭랑에서 오는 길을 막았다 .
광개토대왕조에도 나타났다 .백제 근초고왕(近肖古王,재위: 346-375)이 고구려의 친입을 막으려고 토목 사업을 계속 하여 독산 성주(禿山城主)가 300명을 이끌고 신라로 도망 갔다는 곳이다. 독산성은 요동만 남쪽에 있던 백제의 요새였다. 이 요새를 광개토대왕(재위: 391-412)이 정벌 했다. 그후 고구려는 영토를 확장하여 수나라 때에는 동서 6천리가 되었고,귀한 서적 “五經、三史、三國志、晉陽秋、玉篇、字統、字林”이 있었다 .
신라 눌지 마립간(訥祗 麻立干, 재위 417년 ~ 458년) 말기에 백제 계로왕 (蓋鹵王: r. 455–475)이 장수왕의 공격을 받아 척발씨의 북위(北魏:386-534)에 사신을 보네고, 아들은 문주왕을 신라에 보넸다. 그 내용을 보면 신라왕은 475년에 한반도 남쪽에 있었다. 비문에 실린 신라(新羅)를 조위 시절에는 신로 (新盧)라 했다. 그러나 일차 사료가 되는 진수의 삼국지에는 신로 (新盧)라는 이름이 없고 변진전에 비천 하다는 뜻의 시로국(斯盧國)이 있다. 지증왕 (智證王,재위: 500년~514년) 4년에 처음으로 소를 농경에 사용 하고 국호를 신라(新羅)로 바꾸었다는 기록에 옛적에 시로(斯盧) 또는 시라 (斯羅)라 했다는 기록이 있다 . 이 사, 천할 시(斯)라고 읽는 글자는 시경 국풍 여러 곳에 나오는 글자다. 매뚜기라고 풀이한 국풍 주남종사(螽斯) 란 시문이 있다. 매 구절 끝에 되풀이 되는 글자는 옛적 한국어 형요사라 본다. 요순시대에 시가 왕성 했다(唐虞之際,於斯為盛)고 한다 . 사기 진시황 본기에 진의 선조는 백예(伯翳)이다. 요순시대에 공을 쌓아 봉토를 받고 성을 받았다. 하나라 상나라 시절에 미약해 젔다가 주나라가 쇠퇴할 무렵에 다시 강성해 졌다]고 했다. 진본기에도 백예에 관한 설명이 있다. 단군 조선의 찰설 시기를 설명한 문구다 . 서주가 단군조선 발생지에 들어와서 학대를 받다 밀려난 원주민의 대명사가 이 글자다.
남조 (宋, 南齊, 梁)역사서 나타난 倭王이 살던 곳:
남조 (宋, 南齊, 梁)역사서에는 倭五王이 임나가야 신라를 다스렸다는 문구가 있다. 이를 그 뿌리부터 찾아 살펴 보았다. 진서에는 임나가야 신라는 없고 후한시대 설치 되었다는 임성(任城) 임성국이 실렸다 . 그에 실린 왜는 동왜(東倭) 즉 비미호(卑彌呼)의 후손이다. 통전에 부여왕 위구대 (尉仇台)의 후손이 자치백제군(自置百濟郡)을 두어 남조의 송 제에 조공 (宋、齊並遣使朝貢)을 바쳤다 . 중원 동남 해안 월주에 백제 세력이 있었다는 근거가 확실 뚜렸하다.
위진시대에 전란을 피해 많은 사람들이 멀리떠나 갔다. 동북아 멀리 숙신씨가 수 천리 피란을 가서 장승(totem pole)을 새우고 살았다. 중국 동해안을 따라 동남아 부남 임파(扶南,林邑), 즉 태국 캄보디아 방향으로도 피해 갔다 . 양나라 때에는 인도 (天竺國)남쪽 섬나라에 까지 이르렀다 .
오호 십육국 시대 전진(前秦)의 부견(秦苻堅,재위 : 357년 ~ 385년)이 요동에 있던 모용환(慕容桓於遼東)을 정벌할 당시에 사신을 보내 백제왕 여구를 진동 장군(遣使拜百濟王餘句為鎮東將軍)으로 하여 낭랑태수직을 (領樂浪太守) 주었다 . 후에 척발규(拓拔珪)가 토벌한 모용환의 종말이 16국 춘추에 실렸다. 그가 백제왕 여구를 진동 장군(遣使拜百濟王餘句) 의 아들 여휘(餘暉)에게 같은 작위를 주었다. 그러나 낭랑 태수란 작위가 없다. 그가 남쪽으로 내려 갔다고 본다. 세자 여위에 관해서는 시경 귀뜨라미 (螽斯)편을 인용하여 백세앙 여휘(百世仰餘暉)란 문구를 남겼다 .
백제의 제13대 근초고왕(近肖古王,재위: 346년~375년)이 여구다. 삼국사기에는 양서(梁書)의 내용을 인용하여 영(映暎)이라 했다. 한중일 역사서에는 당시 백제 왕위 계승을 혼잡하게 기록 했다. 아신왕(阿莘王,
재위 : 392년-405년)의 큰아들이 세자가 된지 6년 만에 떠나서 아들이 왜에 인질로 갔다(六年出質於倭國)는 기록이 있다 .
십육국 춘추에는 모용수 편에 노양왕 왜노(魯陽王倭奴)란 글자가 실렸다. 비미호가 공손연과 같은 혈통이라 했다. 공손연과 고구려 왕자 발기의 후손이 중국 동해안을 따라 내려 가서 세운 나라를 왜국(倭國)이라 했다.
당시 왜는 중원에 있었다. 이러한 기록을 종합해 보면 천진 당산 일대에 있던 백제의 지도자가 진나라가 멸망한 시기에 강남으로 갔다.
일본 사람들은 동진의 말기에 왜왕 찬(晉安帝時,有倭王贊)이 있다고 한다.
그러나 현존 하는 진서에는 지도자와 도울 찬(贊)자와 관계된 글자는 모용찬 (慕容贊)이 있고, 찬을 광한왕(贊為廣漢王)으로 했다. 동이 20국이 조공을 바쳤고 광한왕이 죽었다는 문구가 있다 . 그러나 광한왕이 왜왕찬 (倭王贊)이라고 풀이 할수 있는 근거가 없다.
남제의 심약(沈約:441~513年)이 편술한 유송(劉宋:420년 ~ 479년) 역사서(宋書 夷蠻)에는 당시 유송의 해안선에 있던 여러 부족과 국가를 설명 했다 .
“왜는 바닷속 섬에 산다. 외국 여러 족속은 이수를 몰라 믿기가 어럽다. 흔히 3-천리 먼곳은 2-3만리를 배를 타고(乘舶舉帆)가는 길이라 거리 (里數)를 자세히 알수는 없다”
바람과 조류를 타고 먼 바다를 다녔다는 뜻이 있다. 먼거리를 오랫동안 바다에서 생존할수 있는 장비가 구비 되였었는가 하는 의문이 생긴다. 해안선을 따라 필수품을 보충 하면서 먼 거리를 다녔다.
후한시대에 씰크로드를 통해 중국에 들어온 불교는 위진시대의 전란 통에 더더욱 번창하여 유송시절에는 중국 동남 해안을 따라 동남아와의 교류가 왕성 했다. 때때로 해안에 들려 필수품을 공급 받았다고 본다. 송서에 나타난 왜(倭)와의 교류 내용이 실렸다.
송서에는 422년에 왜찬만리수공(倭贊萬里修貢), 즉 왜의 찬이 만리밖에서 공물을 바쳤다고 했다 . 찬이 죽고 동생 진이 뒤를 이었다. 그가 조공을 바쳤다. 그후 472년(世祖大明六年)조공을 바쳤다. 그후 478년에 동정모인 55국 (東征毛人五十五國)과 서쪽으로 66국을 정벌 했다는 기록이 있다. 또한 그동안에 조공을 바친 여러 왜국왕의 이름이 실렸다. 신라 임나가라를 포함한 7나라를 다스리라는 허락을 했다. 한해의 동쪽 일본 구주에서 本州 로 진출했다는 증거다. 중원 세력은 수나라 때에 처음으로 한해 남로를 거처 일본 열도와 유구에 도착 했다. 수서에 백제와 신라가 왜를 키웠다고 (新羅、百濟皆以倭為大國) 했다. 수나라 이후에 일본이 나타났다 .
남제서(南齊書)에 따르면, [贊 도울 찬]자가 왜왕이 아니라 백제왕 모대 (牟大, 摩牟, 麻帝, 餘大)를 섬기던 장군 가사(假沙)의 법명 찬수류 (贊首流)라 했다 . 출처는 백제 동성왕(東城王,재위: 479~501)이 제위 첫 해에 송나라 마지막 왕에게 보낸 편지 내용이다. 빌가(假)또 다른 장군들도 법명으로 기록된 사람이 있다 . 당시에 동남아를 통하여 들어온 불교의 영향을 받아 법명을 많이 사용했다고 본다.
문제는 왜찬 倭王贊” 하는 글자 풀이다. 도울 찬(贊)자가 왜왕의 이름이 아니라 “칭찬, 추천 한다”는 뜻의 동사로 쓰였다. 왕찬(王贊武)이란 문구는 옛적부터 쓰여 왔다. 남제서에도 있다. 북사에는 모두 그렇게 풀이 했다. 그후 양서에 뚜렷하게 비미호(卑彌呼)의 후손에 진안재시 유왜왕찬 (晉安帝時,有倭王贊)이라 했다 . 그러나 진서 왕찬이란 글자는 여럿 있지만 왜왕찬이란 글자는 없다. 오직 비미호가 살던 동왜 (東倭)을 극찬 했다 . 남사에서는 왜찬 또는 왜왕찬 이라 하여 고유명사로 잘못 풀이 했다. 이를 일본이 인용 한다. 그 후에 왜오왕이라 하여 이름을 올렸다. 그 마지막 왕의 이름이라는 무자가 남제서에 왜왕 무호 위 진동대장군 (倭王武號爲鎮東大將軍)이라 했다. 이는 왜왕의 이름이 아니라 무호란 뜻이다. 그 다음 왕조 양서에는 “鎮東大將軍倭王武進號征東大將軍”라 했다. 한계단 높은 무호를 주었다는 뜻이다. 왕찬 또는 무(王贊 武)란 글자는 고유명사 이름자가 아니다. 왜왕의 이름을 만들어 붙였다.
한반도에 있던 백제 수도에서는 그 해에 유송(宋, 420년 ~ 479년)이 망하고, 소도성 (蕭道成, 재위:479년 ~ 482년)이 남제(南帝:479-502) 첫 황제가 되었다는 소문을 들었다. 같은 사람, 좌평 사약은 (佐平沙若思)을 특사로 보내려 했지만 고구려 장수왕 (高句麗巨璉)이 해로를 맊아 중원에 가지 못했다. 장수왕이 백제수도 한성을 점령한 475년 이후에 강남에서 한반도 남쪽에 이르는 항로를 개발 했다. 송나라 마지막 왕이 479년에 한해의 동남쪽, 오늘의 일본 본주에 있던 원주민을 열도백제 (倭)가 정벌 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그 때 까지는 한반도에서 한해 북로를 통에 산동 반도에 이르는 해로를 사용 했다. 신라는 수도를 장수왕 때에 경주로 옮기고 처음으로 백제의 사신을 따라 중원에 사신을 보냈다.
삼국사기와 유사에 나타난 신라와 가락국의 초기 역사에는 선조가 배를 타고 서쪽에서 왔다. 역사서에 실린 임나가야(任那加羅)는 광개토대왕 이후에 신라가 한반도로 수도를 옮기기 전에 한반도 끝에서 일본 구주 지역에 정착 했다. 그 후에 한반도 끝에 있던 가야를 신라가 흡수 했다.
신라가 한반도로 천도한 이후에 새로운 나라란 뜻의 신라로 바꾸었다. 비문에 실린 임나가야 (任那加羅)와 신라(新羅)는 한반도가 아니다.
결론: 남조 (宋, 南齊, 梁)역사서 나타난 왜오왕(倭五王)은 후한 말 백제 여왕 비미호의 후손이라 했다 . 그들이 다스리던 부족국가 임나가야와 신라를 포함한 7 나라 “倭百濟新羅任那加羅秦韓慕韓 七國”, 또는 백제를 제외한 6 나라 “倭·新羅·任那·加羅·秦韓·慕韓六國”라고 했다.
문제는 양서에서 비미호(卑彌呼)의 후손에 도울 찬(贊)자를 왜왕의 이름으로 잘목 풀이 하여 나타난 현상이다. 왕찬(王贊)이란 문구는
옛적부터 쓰여 왔다. 양서 이후 남사에서는 왜찬 또는 왜왕찬 이라 하여 고유명사로 잘못 풀이 했다. 왕무(王武)란 글자는 무호란 뜻이었다. 모두 고유명사 이름자가 아니다. 이를 일본이 아직도 인용 한다. 삼국사기에 최치원이 말했다는 월주(越州), 즉 산동 반도에서 양자강 하류에 이르는 해안 지역에 부여의 후손들이 여러 부족국가를 이루어 살았다. 이 곳을 통치하던 비류의 후손 한왕(汗王)을 왜왕(倭王) 이라 했다.
끝. revised March 21, 2020
Retired physician from GWU and Georgetown University in 2010 2011: First Book in Korean "뿌리를 찾아서, Searching for the Root" 2013: Ancient History of the Manchuria. Redefining the Past. 2015: Ancient History of Korea. Mystery Unveiled.